서울,경기도 사찰

남양주시 흥국사

Pine Tree(소나무) 2022. 11. 6. 18:39

2022년 10월 31일

 

오늘은 남양주시 수락산 기슭에 있는 흥국사를 찾았다.

주지스님이신 화암스님과는 오랜 인연이 있다.

 

지금은 모두 하늘나라에 계신 시부모님이 살아 계실때 부터

인연이 있으며 얼마전 하늘나라로 가신 사돈께서도 화암스님과

인연을 맺게 되어 흥국사를 다녀 오게 되었다.

 

일주문을 지나며 정면에 흥국사 편액이 달린 큰 전각을 보게 되는데

이 전각을 흥국사 대방이라 부르며 독특한 양식으로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한다.

특히 이 편액은 흥선 대원군 친필이라 해서 더욱 유명하기도 하다.

 

흥국사 대방

 

 

 

 

 

대방 좌측으로 종무소를 지나면 영산전이 있으며 영산전 좌측계단을 오르면

수락산 등산로와 이어지게 되는데 이곳 바위 위쪽에 지장보살을 볼 수 있다.

 

종무소

 

 

영산전

영산전의 주련 글씨도 흥선 대원군이 썼다고 전해진다.

 

지장보살

 

 

지장보살 언덕에서 바라본 경내

 

 

영산전 우측으로 대웅보전이 있으며 대웅보전 우측으로는 시왕전과 독성각을 볼 수 있다.

더 우측으로는 육각형태의 만월보전과 단하각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보전

목조 석가삼존불 좌상이 모셔져 있으며 특히 불상 뒤의 화려한 광배가 유명하다.

 

 

 

 

시왕전

 

 

시왕전 옆의 괘불대

 

 

독성각

 

 

육각형태의 만월보전

 

 

단하각은 산신각으로 불리기도 한다.

 

 

단하각 우측의 계단을 올라서면 삼층석탑을 볼 수 있는데 오래되어 보이지는 않는다.

3층석탑에서 내려오면 나한전이 보이고 나한전 맞은편 마당  끝쪽에 범종각이 보인다.

 

 

3층석탑에서 내려다 본 전경.

 

 

나한전

 

 

범종각

 

 

대방 우측의 공양간

 

 

공양간에서 바라본 대방

 

 

 

나한전 우측 언덕 위쪽에 부도가 보여 올라가 보니 18세기에 세워졌다는 성임당 부도임을 알리는

설명과 함께 보기에도 범상치 않은 부도를 볼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성임당이라는 글을 볼 수 있다.

 

 

 

 

 

 

 

'서울,경기도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부도 쌍계사  (0) 2020.07.19
광교산 봉녕사  (0) 2020.07.11
원적산 영원사  (0) 2020.07.05
운길산 수종사  (0) 2019.12.03
낙가산 보문사  (0) 2011.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