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도 사찰 75

남양주시 흥국사

2022년 10월 31일 오늘은 남양주시 수락산 기슭에 있는 흥국사를 찾았다. 주지스님이신 화암스님과는 오랜 인연이 있다. 지금은 모두 하늘나라에 계신 시부모님이 살아 계실때 부터 인연이 있으며 얼마전 하늘나라로 가신 사돈께서도 화암스님과 인연을 맺게 되어 흥국사를 다녀 오게 되었다. 일주문을 지나며 정면에 흥국사 편액이 달린 큰 전각을 보게 되는데 이 전각을 흥국사 대방이라 부르며 독특한 양식으로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한다. 특히 이 편액은 흥선 대원군 친필이라 해서 더욱 유명하기도 하다. 흥국사 대방 대방 좌측으로 종무소를 지나면 영산전이 있으며 영산전 좌측계단을 오르면 수락산 등산로와 이어지게 되는데 이곳 바위 위쪽에 지장보살을 볼 수 있다. 종무소 영산전 영산전의 주련 글씨도 흥선 대원군이 썼다고..

대부도 쌍계사

2020, 7, 18(토) 오늘은 안산시 대부도에 있는 쌍계사를 찾아보기로 하였다. 쌍계사하면 지리산 자락에 있는 사찰이 떠오르지만 대부도에도 쌍계사가 있다는 소리에 궁금증이 더 했다. 쌍계사에 가기전 대부도의 맛집을 검색하여 '우리밀칼국수'집에서 점심식사를 하려고 하였지만 오후 2시정도 인데 대기번호가 24번이다. 근처에 있는 바지락 칼국수 집으로 이동하여 해물파전과 칼국수로 점심식사를 마치고 쌍계사로 가는 길에 있는 '에스렐라' 커피숖에서 아이스커피로 잠시 땀을 식히고 쌍계사로 향한다. 쌍계사는 연혁에서 알 수 있듯이 1660년경 취촉대사에 의해 '정수암'으로 시작하여 1689년경 죽헌스님에 의해 중창건 되어 '쌍계사'로 개명된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흔히 볼 수 있는 일주문이나 사천왕문 같은..

광교산 봉녕사

2020,7,11 지난주 이천의 영원사 방문에 이어 이번주엔 수원의 봉녕사를 다녀 오기로 하였다. 봉녕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로 고려시대 원각국사가 창건한 사찰로서 당시에는 성창사라 불리웠다고 한다. 그 후 봉덕사로 이름이 바뀌었고 1469년(조선 예종 1) 혜각 신미가 중수한 뒤 현재의 봉녕사로 바꾸었다. 1971년 비구니 묘전이 절을 확장하여 별당과 요사채를 새로 짓고 봉녕선원을 열었으며 1975년에는 승가학원을 열었다. 그 후 봉녕선원은 비구니 율원이 되고 승가학원은 1983년 승가대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9년 비구니 묘엄이 주지로 부임하여 1989년 도서관과 1991년에는 육화당이라는 대강당을 지어 비구니 교육의 중심 도량이 되었으며 1999년 6월에는 봉녕선원을 금강율..

원적산 영원사

2020, 7, 4 오전 11시가 좀 넘은 시간 이천에 위치한 영원사를 향해 출발한다. 가는 도중 가끔 들리는 코다리 정식집에서 식사를 마치고 봄에 노란 꽃이 피는 산수유 마을로 유명한 백사리 방향으로 향하다 보면 좌측으로 영원사 이정표가 나타난다. 좁은 마을길을 통과하여 산길로 오르면 좌측에 작은 주차공간이 있고 윗쪽에 넓은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에서 올려다 보면 큰 화강암에 '옴마니반메흠'이란 글이 보이고 계단을 올라서면 아담하지만 연꽃이 있어 제법 운치있는 연못 뒤쪽으로 영원사 전경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대한불교 조계종 용주사의 말사인 영원사는 638년 신라 선덕여왕시절 해호스님에 의해 영원암으로 창건되어 중건,중수를 반복하다 6.25전쟁에 폐허가 되었으나 1968년 비구니 선혜가 중창하여 현재에 ..

운길산 수종사

2019 , 7 , 27 운길산 수종사 시기적으로 좀 늦은감이 있지만 양수리 세미원에 연꽃을 보러 갔으나 역시 연꽃은 모두 시들어 별 소득없이 입장료만 아깝게 되었다. 근처에서 점심식사를 마치고 이곳에 왔으니 수종사를 방문하기로 한다. 구불거리는 산길을 올라 불이문 앞 주차장에 도착하니 빗방울이 조금 떨어지기 시작한다. 수종사에 대한 유래는, 1458년(세조 4) 세조가 금강산(金剛山) 구경을 다녀오다 이수두(二水頭 : 兩水里)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한밤중에 난데없는 종소리에 잠을 깬 왕이 부근을 조사하자, 주변에 바위굴이 있고, 굴 안에 18나한(羅漢)이 있었으며, 굴 안에서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종소리처럼 울려나와 이곳에 절을 짓고 수종사라고 하였다고 전해온다. 운길산 수종사는 북한강과..